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베트남에서 한국어교원15

된소리 된소리, 한국어 자음의 분류 중 하나로 ㄲ, ㄸ, ㅃ, ㅆ, ㅉ를 말한다. -예사소리는 ㄱ, ㄷ, ㅂ, ㅈ, ㅅ-거센소리는 ㅋ, ㅌ, ㅍ, ㅊ (단, ㅆ은 거센소리에 해당하는 소리가 없다.) 된소리되기(된소리 현상)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음절 끝 ㄱ, ㄷ, ㅂ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 -용언의 어간 받침 ㄴ, ㅁ 뒤에 ㄱ, ㄷ, ㅅ,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 예시.입가 [입까], 된장국 [된장꾹], 독도 [독또], 입술 [입쑬], 국수 [국쑤], 협조 [협쪼] 외래어 표기법에서의 된소리외래어 표기법에서는 "파열음 표기에서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영어에서 온 외래어는 .. 2025. 3. 31.
초급 한국어문법. 격음화 격음화현상은 유기음화(有氣音化)현상 또는 거센소리되기라고도 한다.  한국어에서 ㄱ, ㄷ, ㅂ, ㅈ에 대해 ㅋ, ㅌ, ㅍ, ㅊ이 거센 소리이다.손이나 종이를 입 앞에 대고 발음해 보면 바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무기음 ㄱ,ㄷ,ㅂ,ㅈ 등이 (앞뒤의)ㅎ을 만나서 ㅋ,ㅌ,ㅍ,ㅊ (격음/거센소리) 등이 되는 현상이다.(‘ㅎ’이 평폐쇄음이나 평파찰음과 결합하여 유기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자음+ㅎ’과 ‘ㅎ+자음’의 구조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다.(외래어에서도 유기음화가 일어난다.) 현대 국어에서는 'ㅎ' 받침의 명사가 사라졌으므로, 이 현상은 'ㅎ'으로 끝나는 어간이나 접미사 '하-'를 가진 어간과 'ㄷ·ㅈ·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되는 활용형에서만 나타난다 예: ‘홀짝홀짝’, ‘솔직히’, 조코(좋+.. 2024. 12. 30.
초급 한국어문법_경음화(된소리) 경음화: 예사소리였던 것이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등불’이 ‘[등뿔]’, ‘봄바람’이 ‘[봄빠람]’이 되는 것 따위이다. ※예사소리란 숨을 거세게 내지 않으며 목을 긴장시키지 않는 소리이다. 연음(軟音) 또는 평음(平音)이라고도 한다. 'ㄱ, ㄷ, ㅂ, ㅅ, ㅈ' 과 같은 평음이 'ㄲ, ㄸ, ㅃ, ㅆ, ㅉ'과 같은 된소리, 즉 경음으로 바뀌는 음운현상이며, 경음화가 일어나는 조건은 다양합니다 1.된소리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소리가 된소리로 바뀐다. 일반적으로,  2. 된소리의 유형1)받침 'ㄱ, ㄷ, ㅂ' 뒤 + 'ㄱ, ㄷ, ㅂ, ㅅ, ㅈ'  국밥 [국빱] 2)용언의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ㅂ, ㅅ, ㅈ' 담고 [담꼬] 3)관형사형 어미 '-(으)ㄹ' + 'ㄱ, ㄷ, ㅂ, ㅅ, .. 2024. 11. 7.
초급 한국어 문법. '-지 않다', '안 -' -지 않다동사/형용사 + 지 않다 동사와 형용사에 붙어 앞선 행위나 상태를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안안 + 동사/형용사 '안'은 동사나 형용사 앞에 사용하여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낸다. '안'과 '-지 않다'는 모두 부정을 나타내지만 '안'은 '아니'의 준말이고 '-지 않다'는 '아니하다'의 준말이므로 형태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2024. 10. 31.
초급 한국어 문법. 음운_'ㅎ탈락' 'ㅎ' 받침으로 끝나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모음으로 시작시ㅎ 탈락 현상 발생 한국어에서 “ㅎ” 탈락 현상은발음상의 이유로“ㅎ”이 탈락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받침이 있고 다음에 모음이 오면 연음을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ㅎ 받침'인 경우 연음이 되지 않고 탈락하게 됩니다.  먹기에 좋은 [ 조흔 X / 조은 O ] => 받침 'ㅎ'이 연음되지 않고 탈락 그렇다면 왜 ㅎ 탈락이???  ㅎ은 발음할때 다른 자음에 비해서 공기를 방해하는 위치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이렇게 'ㅎ탈락' 발음현상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게 되는 거라 할 수 있습니다. 좋은 : [ 조은 ] O, [ 조흔 ] X놓아 : [ 노아 ] O, [ 노하 ] X많아 : [ 마나 ] O, [ 만하 ] X 2024. 10. 31.
한국어 관련 사이트 안내 한국어 가르치는 것을 처음 도전해 보면막연하고 먹먹한 그 무언가가 느껴지게 됩니다. '내가 한국 사람이라 한국어를 잘 가르칠 수 있다.'에서'지금껏 몸에 베어 있는 모든 한국어의 언어 습관과 습득을 어떻게 한국어 학습자에게 전달하지??'  라는 의문을스스로에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처음에그런 생각을 했었고지금도 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여기저기기웃거리기도 하는데.... 모의 수업때 교수님께서 '스스로의 강의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또한 학습자들의 한국어 욕구는 다양하므로 한가지 방식에 매몰 되어서는 안됩니다.' 안개 속에서나침반 없이어디론가 걸어가는느낌입니다 ㅠㅠ 그럼에도몇가지 유용한 사이트가 있어저 역시 이 곳에서아이디어와 정보를 얻고 있으니혹시예비 한국어교원이시거나한국어를 처음 가르치려.. 2024. 10. 26.
초급 한국어 문법_연음 연음법칙 : ‘밤이’ ‘밥을’은 각각 [바미] [바블]로 연음법칙이란 앞 음절의 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원칙적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연결될 때는 연음법칙이 적용된다. 1.단어 내 연음1)목욕 [모굑], 악어 [아거], 할아버지 [하라버지] ※주의 '같이' : 연음 법칙으로 '같이'는 [가티]로 발음되어야 하지만  '받침 ㅌ + 모음 ㅣ'가 만났을 때 '받침 ㅌ'가 구개음인 'ㅊ'으로 소리나는 구개음화 법칙이 적용된다.  ※‘디귿, 지읒, 치읓, 키읔, 피읖, 티읕, 히흫’ 등 일부 자음 글자의 이름에서는 예외적으로 연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읒이’는 연음법칙에 따라 [지으지]가 되어야 할 것이지만 표준 발음은 [지으시]이다. ‘키으키’도 [키으.. 2024. 9. 13.
초급에서 다뤄야 할 불규칙_ㄷ 불규칙 ㄷ 받침 + 모음 → ㄷ이 ㄹ로 바뀌는 현상초급 단계에서 반드시 설명해야할 불규칙 중에 하나인 'ㄷ 불규칙'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어간이 'ㄷ' 받침으로 끝나는 용언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로 활용할 때 받침 'ㄷ'이 'ㄹ'로 바뀌는 현상입니다.   예시 단어로  '듣다', '묻다', '걷다' 가지고 설명하면 좋을듯 합니다. 교수자가 주의해야 할 것은 규칙으로는 바뀌는 단어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받다, 닫다, 얻다, 믿다, 쏟다, 굳다 등입니다. 특히 묻다의 경우 '땅에 묻다'의 묻다는 규칙입니다. 또한 중급 단어인 '깨닫다'는 'ㄷ불규칙'이지만, '닫다'는 규칙입니다. 그러므로 무조건 'ㄷ불규칙'이라고만 학습시킨다면 학습자들에게 혼선을 줄 수 있으므로 규칙도 있지만.. 2024. 7. 23.
초급에서 다뤄야 할 불규칙_ㅎ 불규칙 '받침 ㅎ' 이 모음을 만나면 탈락하고 'ㅣ' 모음이 삽입(첨가)불규칙 중에서 'ㅎ 불규칙'은 그 범위가 상당히 넓어서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학습을 시켜야 하나 하는 난감한 경험을 할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초급 학습자에게는 '색상'과 관련된 'ㅎ불규칙'만 설명해 주고 발화를 유도하는 것만으로도 자연스러운 수업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다음 예시에 사용되는 5개의 단어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교수자가 주의해야 할 것은 초급 단계에서 'ㅎ불규칙'에 대해 너무 많은 단어를 사용해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중급으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ㅎ불규칙을 접하면서 그때마다 학습시키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동그랗다, 그렇다, 이렇다... 등등은 단계가 올라가면서 문장에서 활용되는 방식에 대해 학습.. 2024. 7. 23.
초급에서 다뤄야 할 불규칙_ㅂ 불규칙 'ㅂ' 불규칙모음 앞에서 받침 'ㅂ'이 '우' 또는 '오'로 바뀌는 현상  베트남 초급 학습자들이 어렵지 않게 이해하는 것 같습니다. 비교적 초급 단계의 단어들인  '덥다', '춥다', '고맙다', '아름답다' 등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면 좋을듯 합니다.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받침 'ㅂ'은 대부분 '우'로 바뀌지만, '오'로 바뀌는 단어가 있습니다. '돕다'와 '곱다'가 '아/어'와 만날 경우 '오'로 형태가 바뀝니다. 다만 '곱다'는 중급 이상 단어이기 때문에 초급 단어인 '돕다' 정도만 '아/어'를 만날 때 '오'로 바뀐다고 설명해 주면 될 것 같습니다.  교수자가 주의해야 할 것은 규칙으로는 바뀌는 단어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입다'와 '잡다', '좁다' 등입니다. 그러므로 .. 2024. 7. 23.
한국어 모의수업 . 초급 문법, '-는데' -수업 구분 : 문법-목표 문법 : '-는데'-학습 대상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수업 시간 : 50분  수업 진행을 시간 순으로 정리했고 목표 문법을 학습하기 위한 개인적인 준비 과정도 기술했습니다.   1.복습 : '-는데' 목표 문법을 수업하기 전에 '-는데'와 연관된 문법 복습  1)'-는데'와 함께 자주 쓰이는 문법 '-할까요?', '-읍시다'를 목표 수업 '-는데'  전에 복습 과정으로 먼저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 '-할까요?', '-읍시다' 문법은 교재 순서상으로 이미 '-는데' 보다 앞 단원에 배치되어 있어기에 학습자들이 이미 학습한 상태라고 생각했고 그래서 복습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우리 '을까요" 배웠어요. 선생님 여러분하고 같이 영화를 보고 싶어요. 그래서 이렇게 말.. 2024. 5. 26.
베트남 대학내 한국어학과 현황 베트남 대학 한국어학과 현황북부(19), 중부(7), 남부(21)(2024. 02월 기준 : 47개 대학, 학생 25,110명) 1.하노이1)하노이국립인문사회과학대 (4년제) 동방학부 한국학과2)하노이국립외국어대 (4년제)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3)하노이대 (4년제) 한국어학과4)외국어 및 관광대학 산업대 (4년제) 한국어학과5)탕롱대 (4년제) 한국어학과6)페니카대 (4년제) ①한국어학과 ②동방학과7)베트남외교아카데미 (4년제) 아시아-태평양학과 한국학전공8)CMC대 (4년제) 언어문화학부 한국어학과전공9)다이남대 (4년제) 한국어문화학과10)하노이폴리텍전문대(3년제) 한국어문화학과11)쯩브엉대 (4년제) 한국어문화학과  2.광닌1)하롱대 (4년제) 한국어과  3.하이퐁1)하이퐁대 (4년제) 외국어학과.. 2024. 5. 20.
한국어 모의수업 . 초급 문법, '-기 전에' -수업 구분 : 문법-목표 문법 : '-기 전에'-학습 대상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수업 시간 : 50분  수업 진행을 시간 순으로 정리했고 목표 문법을 학습하기 위한 개인적인 준비 과정도 기술했습니다.  1.복습 : '-기 전에' 목표 문법을 수업하기 전에 '-기 전에'와 연관된 어휘와 표현을 복습합니다.  1)'-기 전에'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순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미 배운 '앞/뒤', 그리고 고유어 '수'와 한자 '수'를 도입에 제시하고 어휘와 목표 문법과 연관이 있는 '시간'에 대해서 먼저 복습을 진행했습니다.  2)위치의 '앞/뒤'를 복습하고 시간에도 '앞/뒤'가 있는데 시간에서의 '앞/뒤'는 '전/후'라고 말한다고 설명해 주면서 시간의 흐름을 계속 이해시.. 2024. 5. 12.
한국어 모의수업 . 초급 문법, '-아/어요' 한국어 초급 문법 '-아요'문법 내용이 광범위 하지만 초급 단계에 만춰서 수업을 준비해야 합니다.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은 처음 한국어를 배울때 '-습니다'를 먼저 배웁니다. 왜냐하면 변형이 없어서 초급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는 격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하고 비격식적인 상황에서는 '-아요/어요'를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요/어요' 를 학습하기 전에 다시 한번  '-습니다'를 복습하고 목표문법으로 넘어가면 좋습니다.  한편 예비 한국어 선생님은 '격식적인' 그리고 '비격식적인' 이런 의미를 어떻게 학습자들에게 이해시킬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됩니다. 단어로 이해시키기에는 학습자들이 초급이기 때문에 단어를 가지고 설명하다가 자칫 수업이 경직될 수 있습니.. 2024. 4. 25.
한국어교원자격을 위한 한국어 문법 모의수업 "한국어!! 참 어렵다..." 한국어 문법... 어떻게 외국인에게 설명하라는 건가.... 지금까지 살면서 당연했던 학습 과정들을 어떻게 외국인이게 전달해야 하는 것인가... "난감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참고해 볼 만한 사항은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문법 모의 수업에 관한 힌트를 제시해 줄 것으라 생각됩니다. 1.목표문법 제시 방법 목표문법이 있고 이미 학습했던 문법중 목표문법과 관련이 있는 문법이 있다면 이미 학습한 문법을 가져와서 복습을 하고 목표문법으로 이어서 가르치면 효과적입니다.  2.문법 수업시 어휘 제시의 범위 문법을 수업할때 꼭 사용해야 할 어휘나 표현은 그 문법을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어휘나 표현만으로 범위를 좁혀야 초급 학습자들의 집중력을 유지  3.가급적 문자가 아닌 그림으로 내.. 2024. 4.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