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된소리, 한국어 자음의 분류 중 하나로 ㄲ, ㄸ, ㅃ, ㅆ, ㅉ를 말한다.
-예사소리는 ㄱ, ㄷ, ㅂ, ㅈ, ㅅ
-거센소리는 ㅋ, ㅌ, ㅍ, ㅊ (단, ㅆ은 거센소리에 해당하는 소리가 없다.)
된소리되기(된소리 현상)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음절 끝 ㄱ, ㄷ, ㅂ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
-용언의 어간 받침 ㄴ, ㅁ 뒤에 ㄱ, ㄷ, ㅅ,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
예시.
입가 [입까], 된장국 [된장꾹], 독도 [독또], 입술 [입쑬], 국수 [국쑤], 협조 [협쪼]
외래어 표기법에서의 된소리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파열음 표기에서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영어에서 온 외래어는 격음 (ㅋ, ㅌ, ㅍ, ㅊ)으로 적으면서 프랑스어에서 온 외래어는 경음으로 적는 경향이 있다.
된소리와 격음화는 한국어 발음에서 중요한 차이
된소리는 기본적으로 성대가 긴장된 상태에서 발음되는데 예를 들면 ㄲ (꼬끼오), ㄸ (또), ㅃ (빵), ㅆ (쑥), ㅉ (짜)이 있습니다. 소리가 더욱 강하고 날카로우며, 발음할 때 입을 더 강하게 닫는 것이 특징입니다.
-격음화
격음화는 기식이 많이 나오는 소리를 말합니다. 예시로는 ㅋ (코), ㅌ (토끼), ㅍ (파), ㅊ (차)이 있습니다. 발음할 때 숨이 많이 나오며, 소리가 부드럽게 흐릅니다.
즉, 된소리는 성대 긴장이 강하게 걸린 상태에서 발음되며 소리가 날카롭고 강하게 들리지만, 격음화는 발음시 기식이 많이 나오고 소리가 부드럽고 흘러나옵니다.
※기식/기음화
기식음이 적용되는 대상은 무성 폐쇄음뿐이다. 한자로 기식음은 기(공기) + 식(숨을 쉰다) = 무성폐쇄음 ㅍ ㄸ ㅋ
'베트남에서 한국어교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급 한국어문법. 격음화 (0) | 2024.12.30 |
---|---|
초급 한국어문법_경음화(된소리) (0) | 2024.11.07 |
초급 한국어 문법. '-지 않다', '안 -' (0) | 2024.10.31 |
초급 한국어 문법. 음운_'ㅎ탈락' (0) | 2024.10.31 |
한국어 관련 사이트 안내 (3) | 2024.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