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소리
된소리, 한국어 자음의 분류 중 하나로 ㄲ, ㄸ, ㅃ, ㅆ, ㅉ를 말한다. -예사소리는 ㄱ, ㄷ, ㅂ, ㅈ, ㅅ-거센소리는 ㅋ, ㅌ, ㅍ, ㅊ (단, ㅆ은 거센소리에 해당하는 소리가 없다.) 된소리되기(된소리 현상)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음절 끝 ㄱ, ㄷ, ㅂ 뒤에 ㄱ, ㄷ, ㅂ, ㅅ, ㅈ이 올 때 -용언의 어간 받침 ㄴ, ㅁ 뒤에 ㄱ, ㄷ, ㅅ,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 예시.입가 [입까], 된장국 [된장꾹], 독도 [독또], 입술 [입쑬], 국수 [국쑤], 협조 [협쪼] 외래어 표기법에서의 된소리외래어 표기법에서는 "파열음 표기에서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영어에서 온 외래어는 ..
2025. 3. 31.
초급 한국어문법. 격음화
격음화현상은 유기음화(有氣音化)현상 또는 거센소리되기라고도 한다. 한국어에서 ㄱ, ㄷ, ㅂ, ㅈ에 대해 ㅋ, ㅌ, ㅍ, ㅊ이 거센 소리이다.손이나 종이를 입 앞에 대고 발음해 보면 바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무기음 ㄱ,ㄷ,ㅂ,ㅈ 등이 (앞뒤의)ㅎ을 만나서 ㅋ,ㅌ,ㅍ,ㅊ (격음/거센소리) 등이 되는 현상이다.(‘ㅎ’이 평폐쇄음이나 평파찰음과 결합하여 유기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자음+ㅎ’과 ‘ㅎ+자음’의 구조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다.(외래어에서도 유기음화가 일어난다.) 현대 국어에서는 'ㅎ' 받침의 명사가 사라졌으므로, 이 현상은 'ㅎ'으로 끝나는 어간이나 접미사 '하-'를 가진 어간과 'ㄷ·ㅈ·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되는 활용형에서만 나타난다 예: ‘홀짝홀짝’, ‘솔직히’, 조코(좋+..
2024. 12. 30.
베트남 쌀국수 '후띠우 Hủ tiếu'
대부분 관광객이 메콩 삼각주에서 수상시장에 갈 때 시도해 본 음식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대부분 남부 지방에서 인기 있는 요리입니다. 그렇다면 이 요리에는 어떤 재료가 들어 있을까요?후띠우(Hủ tiếu)에는 많은 재료가 들어 있고 이재료들이 모두 섞여 풍부하고 매력적인 요리가 바뀝니다. 이 요리의 핵심 재료는 쌀국수 그리고 육수. 맛있는 후띠우 국수의 기본 재료를 보면 당근, 튀긴 마늘, 메추라기 알, 셀러리, 양파, 새우, 오징어, 돼지 간, 돼지고기등이 들어가 있습니다. 또한 국수 그릇의 풍미와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선한 고추, 레몬, 후추, 간장, 칠리 소스와 같은 향신료가 추가됩니다.주의해야 할 것은 여러 재료가 들어가다 보니 혹시 모를 알레르기에 대비해 자신에게 맞지 않는 재료를 빼달라고 해..
2024. 12. 8.